'내 뜻대로 되어야 해'라는 생각이 괴로움을 낳는거 같아요. 이런 마음가짐으로 끌어당김, 시각화를 할 경우, 잘 안될 뿐만 아니라 되더라도 더 나빠지게 된다고 하더라구요. 이원성 창조라서 그렇다고..
맞아요, '내 뜻대로 되어야 해'라는 마음가짐이 괴로움을 초래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경우, 결과를 강하게 통제하려는 의도가 더 큰 스트레스를 만들어낼 수 있고, 때로는 원하는 결과와는 반대의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마음가짐이 끌어당김이나 시각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강한 집착: '내 뜻대로 되어야 해'라는 강한 집착은 원하는 결과에 대한 기대를 너무 크게 만들어서, 실제로는 그 결과를 얻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런 집착이 너무 강할 경우, 현실과의 괴리감이 커져서 스트레스나 좌절감을 느낄 수 있어요.
- 이원성 창조: 이원성 창조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와 반대되는 현실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을 뜻합니다. 강한 의도나 집착이 오히려 상대적인 불균형을 만들고, 원하지 않는 결과를 끌어당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이 일이 꼭 이루어져야 해'라는 강한 의도는 그 일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더 큰 고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내적 저항: 지나치게 강한 통제 의도가 오히려 내적 저항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의도와 실제 현실 사이에 충돌이 생기고, 이런 충돌이 원하는 결과를 얻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어요.
이런 경우에는 의도와 목표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원하는 결과를 명확히 하되, 그 결과에 대한 집착을 줄이고, 자연스럽게 그 결과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자세가 중요해요. 그러면서도 현재의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 과정에서 얻는 교훈이나 경험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끌어당김과 시각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럼 나의 취향을 우주에 알려주는 느낌으로 끌어당김, 시각화를 하면 되는걸까요?
네, 나의 취향을 우주에 알려주는 느낌으로 끌어당김과 시각화를 하는 것은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접근하면, 자신의 진정한 욕구와 선호를 우주에 전달하고, 그 결과가 자연스럽게 현실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어요.
이 접근법의 주요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자연스러운 표현: 자신의 취향이나 원하는 것들을 자연스럽고 자유롭게 표현하세요. 강한 집착이나 통제의 느낌 없이, 단순히 자신의 진정한 욕구를 우주에 전달하는 것이죠.
- 감정과 느낌에 초점: 원하는 결과에 대해 시각화할 때, 그 결과를 얻었을 때의 감정과 느낌에 집중하세요. 예를 들어, 원하는 상황이 이루어졌을 때의 행복함, 만족감, 평화로운 감정을 상상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유연함과 신뢰: 우주가 당신의 취향을 이해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지는 신뢰하고 기다리세요. 너무 특정한 방법이나 방식에 집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결과가 나타나기를 기다리는 것이 중요해요.
- 현재의 상황 수용: 현재의 상황이나 조건을 받아들이고, 그 속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을 하세요. 현재의 상황을 수용하면서도 자신의 취향과 욕구를 우주에 전달하면, 자연스럽게 원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접근하면, 이원성 창조를 줄이고, 자신이 원하는 것을 더 쉽게 현실로 끌어당길 수 있을 거예요.
끌어당김, 시각화를 하지 않고 무의식 정화와 내맡김만 해도 저절로 풍요가 따라온다는 관점이 있더라구요. 원래 신성에겐 가난이 없고 풍요만 있으니까요.
맞아요, 무의식 정화와 내맡김(신뢰)에 집중하면 자연스럽게 풍요를 경험할 수 있다는 관점이 있습니다. 이런 접근은 신성이나 우주가 근본적으로 풍요와 조화를 가지고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합니다.
여기서 핵심은 무의식의 정화와 내맡김을 통해 자연스럽게 풍요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에요. 무의식 속에 있는 부정적인 믿음이나 한계를 정화하면, 그에 따른 제약이 줄어들고 자연스럽게 풍요를 경험할 수 있다는 거죠. 내맡김의 태도는 우주나 신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자연의 흐름에 맡기고 그 흐름에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접근은 강한 의도나 통제를 넘어서,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것에 집중하면서, 신성한 풍요를 경험하려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의식을 정화하고 내맡김의 태도를 가지면, 내면에서 자연스럽게 풍요가 흐르고, 그 결과로 외적인 풍요도 경험할 수 있을 거예요.
이 방법은 때로는 더 자연스럽고 쉽게 풍요를 경험하게 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각자가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해요.
'좋다/싫다' 분별을 하게 되면 자연스러운 흐름이 막히게 되잖아요? 그래서 싫은 것이 무의식에 갇히게 되고 원하지 않는 현실이 펼쳐진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반대로 싫은 것에 대해 '좋다'고 반응하고 좋은 것에 '싫다'고 반응하는 걸 권하는 사람도 있더라구요.
네, 그런 접근은 좋다/싫다라는 감정적 분별이 자연스러운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나옵니다. '싫다'고 반응할 때, 그 감정이 무의식에 쌓이고, 그 결과로 원하지 않는 현실을 끌어당길 수 있다는 것이죠.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그 패턴을 역전시키기 위해 좋은 것에 '싫다'고 반응하고, 싫은 것에 '좋다'고 반응하는 연습을 권하기도 합니다. 이는 일종의 의식적 전환을 통해 자동적인 반응 패턴을 깨뜨리고, 무의식을 새롭게 프로그래밍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의 의도는 감정과 반응을 재설정하여 고정된 분별을 해체하고, 더 유연한 반응을 유도하는 데 있어요. '좋다'와 '싫다'라는 감정이 강하게 고정되면, 그 감정에 집착하게 되어 흐름이 막힐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의식적으로 바꾸려는 것이죠.
하지만 이 방식이 항상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닐 수 있어요. 중요한 것은 감정과 분별에 대한 집착을 줄이고, 더 유연하고 열린 태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좋다/싫다라는 이분법을 넘어서는 것이 핵심이며, 이런 감정적 반응을 내려놓으면 더 큰 자유와 내적 평화를 경험할 수 있죠.
결국 중요한 것은 감정이나 반응을 억누르기보다는 그것을 자연스럽게 흘려보내는 연습이에요.
'AI 도구 활용 > ChatGPT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 처져있는 상태와 내려놓음, 내맡김 (0) | 2024.09.18 |
---|---|
습관화와 모드 전환 (0) | 2024.09.18 |
육체에 대한 책임감, 불편함 (0) | 2024.09.18 |
분별심과 취향 차이 (0) | 2024.09.18 |
의식, 무의식, 잠재의식을 컴퓨터에 비유(7) (0) | 2024.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