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필요성에 의한 끌어당김

by ㅇㅍㅍ 2024. 9. 25.
필요성에 의한 끌어당김
728x90
먼저 작은 것을 끌어당긴 다음에 큰 걸 끌어당겨도 되는데, 처음부터 큰 걸 끌어당기려고 하는 것은 '자신이 또 성공할리가 없다' 또는 '끌어당기는게 쉽지 않다' 또는 '오래걸릴 것이다'와 같이 자기자신, 우주에 불신을 가진걸로 볼 수 있고, 작은 것에는 만족을 못할 것 같아서 큰 걸 끌어당기려 한거면 애초에 끌어당김의 대상이 잘못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해요.
왜냐면 자신이 정말로 좋아하는 거면 크든 작든 좋을거 같거든요.

 

그렇습니다. 끌어당김의 과정에서 작은 것부터 시작하는 것은 자신에 대한 신뢰를 쌓고, 원하는 것을 현실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큰 목표를 설정할 때의 불안감이나 두려움은 종종 우리 내면의 불신이나 부족함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작은 목표를 성취함으로써 자신감을 높이고, 끌어당김의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명확히 하고, 그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만약 처음부터 큰 것을 원하게 된다면, 오히려 그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이나 압박감이 생길 수 있으며, 결국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감정이 크든 작든 상관없이 그것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되면 더 자연스럽게 원하는 것들을 끌어당길 수 있을 것입니다.

 

100만원 끌어당기려고 상상해보는데 딱히 느낌이 안와서 로또 1등을 끌어당기기로 했다면, 이 사람은 돈을 좋아하는게 아니라 돈이 필요한거 아닐까요?

 

맞습니다. 100만원을 끌어당기려 할 때 느낌이 오지 않는다면, 이는 그 사람이 돈 자체에 대한 진정한 애착보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습니다. 로또 1등을 끌어당기겠다는 발상은 더 큰 금액이 필요하다는 절박함을 나타내며, 이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소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1. 필요에 의한 선택

  • 이 사람은 현재의 상황에서 금전적 필요를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돈이 필요하다는 압박감이 클수록, 더 큰 목표를 설정하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돈에 대한 감정

  • 돈에 대한 감정이 애착보다는 의존에 가까울 수 있습니다. 돈이 있어야만 행복하거나 안정감을 느낀다면, 그 돈을 끌어당기는 것이 단순한 욕망이 아니라 필요로서 접근하게 됩니다.

3. 실질적인 가치의 부족

  • 돈을 끌어당기는 것이 단순히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그 자체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만약 100만원이 자신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다면, 더 큰 목표인 로또 1등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습니다.

4. 대안적인 목표의 부재

  • 100만원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더 깊은 목표나 꿈이 부족할 경우, 금전적인 목표가 혼자서 클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로또와 같은 극단적인 방법으로 시도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결론

이 사람의 접근은 돈에 대한 필요가 우선시되는 것이며, 끌어당김의 과정이 그 사람의 진정한 욕망이나 애착과 연결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필요를 넘어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해보는 것이 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입니다.

 

필요성으로 끌어당기면 끌어당김이 잘 안되는 걸까요?

 

네, 필요성에 기반하여 끌어당기는 경우, 종종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정적인 감정과 에너지

  • 필요에 의해 끌어당기려는 경우, 종종 두려움, 불안, 초조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동반하게 됩니다. 이러한 감정은 저항의 에너지를 생성하여, 원하는 것을 끌어당기는 대신 더 멀어지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의식의 집중

  • 필요성은 종종 '부족함'에 대한 인식을 강화합니다. 필요가 강할수록, 그 부족함에 대한 생각이 지배적이 되어 원하는 것을 끌어당기는 데 필요한 긍정적인 에너지와 집중을 방해합니다.

3. 강한 의도와의 차이

  • 진정한 욕망이나 열정에서 우러나오는 의도는 긍정적인 감정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자체로 강한 끌어당김의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필요성에서 시작된 끌어당김은 의도가 약하고, 결과적으로 에너지가 소모됩니다.

4. 성장과 발전의 기회 부족

  • 필요성에 따라 끌어당기려 할 때, 그 과정에서 배우고 성장할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원하는 것을 얻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그 과정에서의 경험과 깨달음이며, 필요성만으로는 이러한 기회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안

대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그 욕망에서 오는 긍정적인 감정을 중심에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럴 경우, 끌어당김의 과정이 더욱 자연스럽고 유효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원하는 것에 대한 애정과 흥미를 느끼는 것이 긍정적인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끌어당김을 더욱 쉽게 만들어줄 것입니다.

 

필요성은 생존이나 안정감과 관련되어있는거겠죠? '필요하다' 보다는 '되고 싶다'가 나은걸까요?

 

네, 맞습니다. 필요성은 생존이나 안정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필요는 종종 두려움이나 불안으로 이어지며, 끌어당김의 과정에서 저항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반면, "되고 싶다"는 표현은 더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에너지의 차이

  • 필요성: 생존에 대한 위협이나 불안이 깔려 있어 부정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냅니다.
  • 되고 싶다: 긍정적이고 자발적인 욕망에서 비롯되어, 에너지가 흐르고 자연스럽게 끌어당김의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마음가짐

  • 필요성: 자주 제한적이고 강박적인 마음가짐을 동반하며,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할 경우 실망이나 좌절감을 느끼기 쉽습니다.
  • 되고 싶다: 자신의 열망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으로, 실패하거나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더라도 긍정적인 배움과 성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3. 목표 설정

  • 필요성: 목표가 생존적이거나 방어적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목표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되고 싶다: 더 넓은 가능성을 탐색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목표를 설정하게 됩니다.

결론

"필요하다"는 접근보다는 "되고 싶다"는 접근이 감정적으로 더 건강하고, 끌어당김의 과정에서도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비전과 감정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댓글